오와리 번 (1/2)에도시대를 통해 오와리를 다스린 오와리 도쿠가와가

오와리 번

마츠다이라가의 가문 「삼개 아오이」

기사 카테고리
번사
번명
오와리번(1610년~1871년)
소속
아이치현
관련 성, 절, 신사
나고야 성

나고야 성

관련된 성

오와리번은 도쿠가와 요시나리를 조로 한 오와리 도쿠가와가가 다스린 번입니다. 오와리 도쿠가와가는 장군가에게 후계가 끊어졌을 때에 후계자를 내는 미쓰야의 필두가였습니다. 또, 장군가와의 관계도 깊고, 장군과 친밀하게 되거나 반발하거나 한 번주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오와리번의 역사를 역대 번주를 축으로 끈다.

도쿠가와 요시 나오가 나고야 성으로 옮겨 살 때부터 오와리 번의 역사는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다이묘의 대부분이 「국환」이라고 하고 정기적으로 영지 변경을 명령받는 가운데, 오와리 도쿠가와가는 에도 시대를 통해서 오와리 번으로부터 움직이지 않고, 이 땅을 다스렸습니다. 초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나리의 무렵, 오와리번의 이시고는 47만1300석이었지만, 그 후 미노국 각무군 등을 비롯한 기소가와 유역의 지역, 기소 지역·히다 지역 등 영지를 확대해 갑니다. 최종적으로, 오와리번은 키소가와·히다가와 유역, 나가라가와·이비가와 유역 등 동해 지방의 군사·경제의 요소를 번영에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석고는 61만9500석이 됩니다. 같은 미산가의 기슈번이 55만석, 미토번이 35만석이기 때문에, 미산가필두라고 불리는 오와리 도쿠가와가의 경제력을 잘 알 수 있습니다. 덧붙여 일설에 의하면 오와리번은 닛타 개발에 의해 얻은 쌀을 매각한 수입에 가세해, 기소산 중에서 채취할 수 있는 재목을 매각한 수입등도 있어, 실제의 석고는 90만~100만석에 가까웠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경제적인 풍요로운 안정된 통치

표석고와 실제의 돌고에 30만석 가까운 차이가 있던 오와리번은 경제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영민의 연공은 4공 6민으로 낮게 억제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영민이 여유 있는 생활이 되어 있었기 때문인지, 오와리번은 폐번이 될 때까지 일반이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또, 카츠카이후나는 메이지 31년(1898년)에 저명한 히카와 청화 중에서, 오와리번을 「민정이 닿은 나라」 「오다 노부나가의 유덕이 아직도 인민에게 존경받고 있는 나라」 선량법정이 역시 남아 있다”고 칭찬하고 있습니다.
초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나리는 오와리 번주의 자리에 도착했을 때는 아직 어렸지만, 성인하고 나서는, 용수 정비·닛타 개발·연공 제도의 확립 등에 봉사했습니다.
2대 번주가 된 도쿠가와 미츠유는 사지 정책에 너무 힘을 쏟은 탓에 번의 재정을 악화시키지만, 방화 제도를 조율하거나 군비 증강을 하는 등 일정한 공적을 남겼습니다.

장군가와 오와리번의 관계

오와리번의 번주인 오와리 도쿠가와가는 미쓰야의 하나로 가장 격이 높은 집으로 되어 있습니다. 미츠야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피를 이은 남자계 남자를 시조로 하는 친번의 최고위입니다. 장군가에게 후계가 끊어졌을 때는, 미사가로부터 입양을 맞이하는 것이 정이었습니다. 오와리 도쿠가와가는 3대 번주의 도쿠가와 츠나마코의 실모가 3대 장군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장녀, 치요히메이기 때문에, 장군가에 가장 가까운 집으로 간주되고 있었습니다. 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도리는 친부 도쿠가와 강성의 급사에 의해, 11세로 번주가 되었습니다만, 그 인격과 통치에 관한 능력의 높이를 6대 장군 도쿠가와 가선에 의해 높이 평가됩니다.
가선은, 친자 나베마츠(후의 7대 장군, 도쿠가와 가계)가 병약인 것을 걱정해, 도쿠가와 요시도리에게 7대 장군이 되도록 간청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소원은 실현되지 않았다. 요시도리가 「오와리는 장군위를 다투지 않고」라고 말했다고 해도, 가선으로 바뀌어 국정을 담당하고 있던 어측 어용의 아라이 시라이시가 반대했기 때문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만, 진상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도쿠가와 요시도리는 6대 장군가선이 장작하여 불과 1년 후인 쇼토쿠 3년(1713년)에 수상한 죽음을 이룬다. 친모, 혼슈인과 저녁 식사를 함께 한 후, 갑자기 토혈하고 그대로 사망했습니다. 향년 25세(만 23세)라는 젊음이었습니다. 이 죽음에 관해서, 오와리 번사 아사히 중장은 자신의 일기, 「오비로 츄우키」중에서, 기슈 번의 간자가 오와리 번저를 묻고 있다고 하는 소문이 있었던 것 를 기록합니다.
요시도리의 후계는, 어린 장남 도쿠가와 고로타가 세고 3세로 이어집니다만, 그도 아버지의 죽음으로부터 2개월 후,에 없어졌습니다.

야시로 장군을 둘러싼 기슈 도쿠가와 집과의 싸움

5대 번주 도쿠가와 고로타가 어려서 없어진 것으로, 6대 번주의 자리에 붙은 것은 요시도리의 동생에 해당하는 도쿠가와 계친입니다. 계친은 본래라면 번주가 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었기 때문에, 번주의 자리에 붙었을 때는 도쿠가와 고로타의 죽음의 다음날에도 불구하고 성대하게 번주 취임 축하의 축연을 열어, 가신들에게서 태어났다, 라고 하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도쿠가와 계친은 야시로 장군의 자리를 기슈 도쿠가와가의 도쿠가와 요시무네와 싸운 인물로 유명합니다. 소설·드라마·만화 등에서도 잘 다루는 에피소드 때문에 아시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오와리 도쿠가와 가쪽이 기슈 도쿠가와 가문보다 가격이 위이고, 혈근에서도 도쿠가와 계친 쪽이 장군가에 가까웠는데 장군에 취임할 수 없었던 이유는 제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와리 도쿠가와가의 부가로인 나루세 마사유키와 타케요시 마사부 등이 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도리의 선언, 「오와리는 장군위를 다투지 않고」를 지키고 적극적인 장군 취임 활동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설은 유명합니다. 이 밖에 막부의 중진이었던 마나베 야스보와 아라이 시라이시의 반대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도쿠가와 계친은 장군이 되지 않고 17년(1731년)에 사망할 때까지 번주를 맡습니다. 계친은 어린 아이보다 축재에 열심으로, 절약가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질소 절약을 추진하는 정치를 실시해, 영민으로부터의 평판은 「성질 단려로 치고」라고 지금 하나였습니다. 계친이 영민에게 붙여진 별명 중에는, 관직의 「오와리 대납언」과 「오와리 무」를 건,
『자르기 무』라고 하는 것도 있었다고 합니다만, 사실에서는 계친은 대납언에는 임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가 실시한 정책에 의해, 오와리번은 누보 13년(1729년)에는, 금 1만 3천량 이상, 미 2만 7천석 이상이라는 흑자를 내고 있습니다. 또, 도쿠가와 계우는 상업의 발전에도 열심이며, 그가 번주의 자리에 도착하고 있을 때, 에도의 호상 미쓰이가의 에치고야가 나고야에 다시 출전을 하고 있습니다. 나고야 성하의 인구도 17만명을 넘어 7대 번주 도쿠가와 소하루가 약진하는 토대를 구축했습니다.

막부와의 대립

역대 오와리 번번주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7대 번주 도쿠가와 소하루입니다. 소하루는 도쿠가와 계우의 동생에 있어서, 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도리가 매우 귀여워져 있었습니다. 도쿠가와 무네하루는 막부의 생명과는 반대로 정반대의 정책을 실시한 번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의 통치에 대해서는 「유메노후」나 「우에모토 에마키」등에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享元絵巻은 나고야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기 때문에 나고야 성을 견학하면서 감상해 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도쿠가와 무네는 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내놓은 절약령을 무시하고 나고야의 성시에 연극 오두막을 유치해 영내에 새로운 유곽의 설치 허가를 냈습니다. 이 때문에, 에도에서 활동할 수 없게 된 배우나 그림사 등, 마을인 문화를 담당하고 있던 사람들이 나고야에 모여, 나고야는 에도를 능가하는 활기차게 되었습니다. 그 모습을 그린 것이, 먼저 소개한 향원 그림책입니다.
도쿠가와 소하루 자신도 화려하게 좋아하고 눈에 띄고 싶은 가게의 일면이 있었던 것 같고, 영내에서는 노와 가부키의 장속으로 돌아다니거나 흰 소를 타거나 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습니다.

오와리 번의 기사에는 계속이 있습니다.

관련된 성
AYAME
작성자(라이터)에도 시대를 중심으로 한 역사를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취미는 사적과 사찰 불각 순회, 그리고 역사 소설의 독서. 궁금한 장소가 있으면 어디에나 날아갑니다. 최근에는 도검난무의 히트 덕분에 도검의 전시회가 늘어난 것을 은밀하게 기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