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 제법도 (1/2)「원화령」을 비롯한 에도시대의 다이묘 통제법

무가 제법도

무가 제법도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무가 제법도(1615년)
위치
도쿄도
관련 성, 절, 신사
에도성

에도성

관련 인물

게이쵸 20년(1615년)의 오사카 여름의 진으로, 에도 막부는 도요토미가를 멸망했습니다. 그 직후에 제2대 장군의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전국의 다이묘들에 대해 발령한 것이 13조로 이루어진 「무가 제법도」입니다. 다이묘의 규범을 나타낸 법령은, 최초의 것은 발행된 시기부터 「원화령」이라고도 불렸습니다. 그 후, 기본적으로 장군이 바뀔 때마다 발출되어, 몇번인가 개정도 행해졌습니다. 에도시대의 다이묘들을 법률로 규제한 것은 에도막부가 260년의 오랫동안 존속하는 일인이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런 「무가 제법도」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해 갑니다.

「무가 제법도」란? 배경과 그 목적

무가 제법도는 에도 막부가 다이묘들을 통제하기 위해 내린 법령입니다. 발포한 것은 도쿠가와 히데타다입니다만, 그 뒤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존재가 있었습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이 승리하고, 천하를 통일하고 에도 막부를 연 후 도요토미가가 존속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권은 불안정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오사카 겨울의 진·여름의 결과, 게이쵸 20년(1615년) 5월에 도요토미 종가는 멸망. 그 직후부터 이에야스는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한 법률을 책정하기 시작합니다. 덧붙여 연호는 같은 해의 7월 13일에 개원에 의해 경장→원화로 바뀌고 있습니다.

왜 이에야스는 법 제정을 진행했을까요? 그것은, 일본 각지의 지배권을 다이묘에게 인정하는 대신에, 다이묘를 법으로 묶어, 힘을 제한하면 안정된 정권 운영을 도모했기 때문입니다. 도요토미 종가가 멸망했다고는 해도, 서일본 중심에 도요토미 은고의 다이묘들은 아직 남아있었습니다.

이에야스는 무가 제법도를 발출하기 전에는 '일국 일성령'을 통달했다. 서국 다이묘를 중심으로 국내의 거성 이외의 성을 파각하도록 명령했습니다. 이곳은 법령이 아니었지만 여러 다이묘는 순차적으로 전국에 퍼져 나갑니다.

다음에 나온 것이 무가 제법도로, 1개월 후의 7월 7일의 일. 직후에 개원이 행해진 것으로부터 「원화령」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후시미성에서 제대명이 모이는 가운데, 초안을 책정한 임제종의 스님·김지원 숭전이 읽어 들려에 의해 전달했습니다. 숭전은 이에야스의 브레인으로 법안 작성이나 외교에서 종교의 통제까지 한 손에 맡고 있으며, 「흑의의 재상」의 별명을 가진 인물입니다. 오사카 겨울의 진의 계기가 된 「호히로지 종명 사건」에 관계하고 있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최초의 무가 제법도 「원화령」의 내용은?

전 화령은 게이쵸 16년(1611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히데타다 부모와 자식이 다이묘로부터 설치한 서서 3개조와 김지원 숭전이 기초한 10개조를 합친 13조로 이루어집니다.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각 조에는 주석이 붙어 있었습니다.

  1. 분무 궁마의 길 (분무 양도)에 격려
  2. 술에 빠져 호색에 빠져, 도박 등 놀이에 어지럽히게 하는 것
  3. 법령 위반자를 익히지 마십시오.
  4. 나라에 반역인이나 살해자가 있으면 신속하게 쫓아내는 것
  5. 영지에 다른 나라의 사람을 살게해서는 안됩니다.
  6. 제국의 거성을 보수할 때는 반드시 신고를 하는 것. 신축은 엄격히 금지
  7. 이웃 나라의 불안한 움직임이나 도당을 짜는 움직임이 있으면, 일찍 막부에 보고해야 한다
  8. 막부의 허가가 없는 혼인은 금지한다
  9. 참근교대의 작법에 대해 규정(인원수 등)
  10. 신분에 맞는 옷차림을 하는 것
  11. 신분이 낮은 사람은 타마를 타면 안됩니다.
  12. 국가의 사무라이는 질소 검약에 노력
  13. 국주는 정무가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

6의 무허가성의 수선·신축 금지는 일국 일성령에 통하는 것이 있습니다만, 다이묘의 무력 강화를 피하기 위한 법령입니다. 또, 8의 「막부의 허가가 없는 혼인의 금지」는 같은 내용의 결정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에도 있었습니다.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의 사후, 결정을 깨고 정략 결혼을 반복해 파벌을 강화하고 있어 그 영향은 자신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금지했을 것입니다.

또, 참근교대에 대해서 언급이 있습니다만, 이 시점에서는 의무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참근교대는 에도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고, 교토 참근이 전제였던 것 같습니다.

무가 제법도를 위반하면 어떻게 되는가?

무가 제법도는 막부의 근간이 되는 법령으로, 위반하면 벌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개역이나 감봉, 전봉 등, 영지를 다루거나 나라 바꾸게 되는 등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

이 무가제법도를 위반하여 처벌된 무장 중 유명한 것이 후쿠시마 마사노리입니다. 당시는 안예국(현 히로시마현 서부)과 비고국(히로시마현 동부)의 50만석을 담는 히로시마 번의 번주가 되어 있었습니다.

히로시마라고 하면 가을의 태풍 피해로 유명합니다만, 모토와 4년(1618년)에도 태풍이 상륙. 이 때 히로시마성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정칙은 성을 수복하려고 막부에 신고합니다. 그런데 좀처럼 들을 수 없습니다. 보지 못한 정칙은 성의 수리를 마음대로 시작해 버려, 혼마루·니노마루·산노마루와 이시가키 등을 무단으로 수선했습니다. 막부에는 사후 보고가 아니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것을 알게 된 막부는 무가 제법도 위반을 벗어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곧바로 개역이라고는 할 수 없고, 정칙에 혼마루 이외의 수축한 부분을 파각하도록 요구해 수타로 하려고 합니다만, 정칙은 혼마루만을 파각해 다른 수축 부분은 그대로 해 버려 합니다. 이 밖에 에도에 보낼 인질의 출발을 늦추는 등의 위반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격노. 결국 정칙은 아키・비고국의 50만석을 몰수한 후, 시나노쿠니가와 나카지마 시군의 다카이군(나가노현)과 에치고국어누마군(니가타현)에 감전봉해져 버렸습니다.

「원화령」과 동시기에 내놓은 「공가 제법도」

무가 제법도는 다이묘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지만, 이때 원화령과 동시기에 나온 것이 공가를 대상으로 한 「공가 제법도」(나중에 금중 병공가 제법도로 명칭 변경 )입니다. 에도막부가 조정이나 공가를 통제하기 위해 내놓은 것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김지원 숭전에 기초시켰다. 개원 후의 7월 17일, 니조성에서 이에야스와 2대 장군의 도쿠가와 히데타다, 차관백의 니조 쇼미의 3명의 연서로 교부되고 있습니다. 내용은 17조로 이루어져 에도시대를 통해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무가 제법도의 기사에는 계속이 있습니다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