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국일성령(1/2)2000개 이상의 성이 사라진 막부의 다이묘 통제책

일국일성령

일국일성령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일국일성령(1615년)
위치
도쿄도
관련 성, 절, 신사
에도성

에도성

관련 인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연 후, 게이쵸 20년·모토와 원년(1615년)에 여러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해 막부가 내놓은 것이 “일국 일성령” 입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나라(령제국)마다 원칙적으로 거주하는 성 이외의 지성을 모두 파괴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원래 3000 있었던 성이 170 정도까지 줄었다고 합니다. 막부에 의한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해서 발포되고 있어 너무 많은 성이 파괴되었기 때문에 엄수되었다! 라고 생각되기 쉽습니다만, 실은 이 일국 일성령에는 예외가 많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그런 일국 일성령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하겠습니다.

일국 일성령이란

1국일성령은 “귀전 고분쿠니 나카이 성을 남겨두고, 그 외의 성은 깨끗하게 파각되어야 한다는 뜻, 상의에 후”라고 하는 것처럼, 국내의 거성 이외의 성은 모두 파각하라고 제대명에 통달한 것입니다. 통달한 것은 게이쵸 20년(1615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행해진 「오사카 여름의 진」에서 도요토미 종가가 멸망한 직후의, 같은 해 윤 6월 13일의 일. 7월부터는 「원화」로 개원되고 있는 것 등으로부터 「원화일국 일성령」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도쿠가와 막부 제2대 장군의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생명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입안한 것이었습니다.

일국 일성 「령」이라고 합니다만, 에도 막부의 도이 토시카츠, 안도 시게노부, 사카이 타다시의 연서 봉서에서 나온 것으로, 엄밀하게는 법령이 아닙니다. 막부에 의한 다이묘 통제책의 하나로 되어 있습니다만, 오사카 여름의 진 직후에 나온 것으로부터, 여러 다이묘의 동요를 억제하기 위해인지 정중한 표현을 사용. 강권적인 법령이 아니라 봉서에서 푹신한 내용을 내고 여러 다이묘의 반응도 체크하고 있었던 것은 설도 있습니다. 실제로, 「파각」에 대해서는 어디까지 부수면 좋은지 명시되어 있지 않고, 각 다이묘의 파악 방법에 의해 철저하게 성을 부수는 경우도 있으면, 이시가키 정도를 가볍게 부서 끝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실은 이 일국 일성령, 발포 당초는 기내·산양·산인 등 서일본의 다이묘가 대상으로, 서서히 전국에 퍼진 것 같습니다. 덧붙여 동일본에 대해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대, 텐쇼 18년(1590년) 7월부터 8월의 오슈 마치에서 성이 파각되고 있어, 그다지 대상으로서 클로즈업 되지 않았습니다.

일국일성령이 내려진 이유는?

에도막부가 일국일성령을 내린 이유는 여러 다이묘의 힘을 깎으면서 막부에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서일본은 도요토미 은고의 외양 다이묘가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막부로서는 군사 거점을 줄이고 싶다는 생각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일국 일성령을 낼 정도로 성이 많았어?에도 시대에 들어가서 전은 침착했지?」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만, 실은 게이장년간은 세키가하라의 싸움 전후로부터 「츠키기 러시」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 세키가하라 전투의 논공 행상에서 다이묘는 가증이나 개역 등 대규모 배치 전환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서군은 졌다고는 해도 도요토미 종가는 아직 남아 있어 도요토미 은고의 다이묘와 도쿠가와 쪽의 대립은 계속중. 이 때문에 전쟁이 되기 쉬운 국경을 따라 지성이 많아졌습니다. 당시의 기록에 의하면, 경장 14년(1609년)에는 무려 1년에 25의 천수가 서 있었다고. 이것은 이에야스가 아니어도 성을 줄이고 싶어지는군요…

그렇다고 해서 세련되게 지은 성을 일국일성령으로 깨뜨릴 수밖에 없었던 다이묘들입니다만, 단점뿐이었는가 하면 실은 그렇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원칙적으로 「일률령국당 일성에 한정한다」라고 하는 것은, 다이묘의 가신들은 성을 가질 수 없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신이 힘을 붙여 하도상,이라고는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다이묘에게 가신을 통제하기 쉬워진다는 장점도 있었던 것입니다.

일국 일성령의 「예외」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부터 하나의 영제국에 하나의 성밖에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일국일성령이었지만, 실은 예외가 꽤 있었습니다. 원래 막부는 성을 언제까지·어떻게·어느 정도 파각하라는 세세한 지정을 하고 있지 않고, 앞서 소개한 연서봉서로 통달했을 뿐. 「이것은 성이 아니라 요새입니다」라고 말해 도망치는 다이묘나, 선주행했는지 막부에 모였는지, 성을 필요 이상으로 파각한 다이묘도 있었습니다. 예외에 대해 어느 정도 분류하면 몇 가지 패턴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하나 하나 살펴 보겠습니다.

일국일성령의 예외 ①일국을 복수의 다이묘가 통치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영제국당 성은 하나입니다만, 그 한 나라를 복수의 다이묘가 통치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조치로서 다이묘의 수만큼 성이 놓여졌습니다. 예를 들면 이요국(에히메현)은 후지도씨의 이마바리성, 다테씨의 우와지마성, 와키자카씨의 오스성, 카토씨의 마쓰야마성과 같이 복수의 다이묘가 자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도쿠가와 막부로서도 필요없는 싸움을 낳고 싶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1국일성령의 예외 ② 다이묘가 여러 나라를 통치하고 있는 경우

①과는 반대로 다이묘가 복수의 율령국을 넘어 영유·통치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후지도씨의 쓰번은 이세국(미에현의 북중부, 아이치·기후현의 일부)·이가국(미에현 서부)을 영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세국에 아노츠성, 이가국에 우에노성의 양국이 허용됩니다.

1국일성령의 예외 ③ 막부의 배려에 의해 복수의 성을 허용된 경우

엄밀한 결정이 없는 '일국일성령'은 막부와의 관계에 따라 일령제국에 일성이 아니라 여러 성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일국 일성령의 기사에는 계속이 있습니다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