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쵸의 역할 (2/2)히데요시의 죽음으로 끝난 조선 출병·후편

경장의 역할

경장의 역할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경장의 역(1597년~1598년)
위치
사가현·나가사키현
관련 성, 절, 신사
나고야 성

나고야 성

구시마 성

구시마 성

구마모토 성

구마모토 성

관련 인물

이에 대해 조선군도 일본군을 맞아 쏘는 준비를 진행합니다. 문록의 역으로 활약한 이순신은 강화협상 가운데 일본군을 공격하거나 가토 기요마사의 조선상륙을 저지하는 명령에 등을 씌우는 등 중복되는 명령 위반 등에 의해 파면되었기 때문에 원균이 조선수군 의 지휘권을 잡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7월, 드디어 일본군과 조선군의 싸움이 시작됩니다. 해전이 메인이 된 칠강 양해전은 후지도 타카토라 등이 이끄는 일본 수군이 활약. 일본군이 압승하고, 원균은 전사하고 있습니다. 그 후도 일본군은 쾌진격을 계속해 나가고, 해상에서는 다시 지위를 얻은 이순신이 일본군을 괴롭히지만 일본군은 9월까지는 당초 목표대로 전라도와 충청도 제압에 성공 . 경기도까지 진출한 후 당초 예정대로 다이묘가 상주하기 위한 왜성 만들기를 시작했습니다. 문록의 역할에 있던 성 외에도 새롭게 8개의 성을 건설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명·조선군은 성을 일찍 붕괴하려고 공격을 합니다.

경장의 역할 ③ 제1차 울산성 전투

그리고 일어난 것이, 게이쵸의 역의 하이라이트적인 싸움 「울산성(우루산조)의 싸움」입니다. 두 번에 걸친 싸움의 무대는 울산 왜성(대한민국 울산 광역시)으로, 왜성으로서는 최동단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줄은 가토 기요마사가, 츠키키는 모리 히데모토와 아사노 유키나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번 눈의 싸움은 게이쵸 2년 12월 22일, 축성중에 일어났습니다. 명·조선군 약 5만 7000명이 청정을 토벌하기 위해 공격해 온 것입니다. 기요마사는 문록의 역으로 대활약하고 있어, 명이나 조선은 “청정은 일본 최강의 무장.

울산성이 공격당했을 때, 카토 기요마사는 니시우라우라 왜성을 방문하고 있어 부재였습니다. 갑작스런 일본군은 고전. 미완성의 성에 편성할 수밖에 없고, 충분한 병량도 없는 상태로 필사적으로 방어합니다. 청정도 당황해서 성으로 돌아가, 몇도는 명·조선군을 물리쳤지만, 다음 경장 3년(1598년) 1월에는 이제 한계에. 농성으로부터 10일 후, 「이제 성은 떨어지는 것은… 원군의 대활약에 의해 명·조선군은 약 2만의 손해를 내는 대패를 기해, 지휘관 클래스도 많이가 사망. 한성까지의 후퇴를 강요당했습니다.

명·조선군을 물리친 일본군이었지만, 제1차 울산성의 싸움을 근거로 우키타 히데모토와 모리 히데모토 등 13장이 울산·순천·梁의 3성을 포기하는 전선 축소안을 히데요시에게 말씀드립니다. 원군의 보내기 어려움 등이 이유였습니다만, 코니시 행장이나 타치바나 무네 등은 반대. 히데요시는 제안을 각하함과 동시에 13명을 꾸짖습니다.

게다가, 이시다 미츠나리가 파견한 군목부 중, 후쿠하라 나가미·구마가야 나오모리·가키미 일직이 구로다 나가마사와 벌스가 가정에 대해 “처음에는 싸우지 않았다” 등과 히데요시에 보고. 특히 벌스카가정은 '추격이 너무 많았다'고 비난받고 있다. 히데요시는 분노 2명을 처벌했습니다. 덧붙여서 전투에서 분투한 카토 기요마사와 아사노 유키나가, 모리 히데모토 등은 별로 평가되지 않고 완성된 것 같습니다.

이 군목 첨부로부터의 평가를 히데요시에게 전한 것이 이시다 미츠나리. 또, 전선 축소안을 각하한 코니시 행장은 이시다 미츠나리와 같은 문치파(도요토미 정권에서 주로 정무를 담당)였습니다. 분로쿠의 역으로부터 키요마사와 미츠나리의 관계는 악화되고 있었습니다만, 이 울산성의 싸움을 계기로 이시다 미츠나리 등 문치파와 기요마사 등 무단파(주로 군무를 담당)의 대립은 격화해 갈 것입니다 , 세키가하라 전투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게이쵸의 역 ④ 히데요시의 사후에 일어난 명·조선군 VS 울산·사천·순천왜성

조선에서 일본군과 명·조선군의 싸움이 이어지는 가운데 게이쵸 3년(1598년) 5월부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병에 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8월 18일에 사망. 그 후 도요토미 정권의 중심인 오대로와 오봉행은 조선의 철병을 결정하고 비밀리에 준비를 진행시킨다. 다만, 히데요시의 죽음은 은폐되어 조선 출병 중인 제장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9월, 「제2차 울산성의 전투」가 일어납니다. 제1차 울산성 전투에서 패전한 아키라는 본국에서 더욱 증원을 얻어 10만 대군이 되었습니다. 그것을 육군 3군과 수군 1군으로 나누어 육군이 일본군의 거점을 공격하고, 수군이 퇴로를 끊는 '사로 병진책'으로 울산 왜성, 사천 왜성, 순천 왜성의 3성 동시에 공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울산성에는 약 3만 명의 명·조선군이 투입되었습니다. 대군입니다만, 전회와 달리 울산성은 완성이 끝나고 농성의 준비도 딱. 카토 기요마사가 제대로 지키고 있으며, 명·조선군은 격퇴되어 경주로 철수했습니다.

9월 말부터 10월 머리에 걸쳐 일어난 사천 왜성에서의 싸움은, 일본군은 수적으로 불리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고전했지만, 시마즈 요시히로가 이끄는 시마즈군의 활약에 의해 일본군이 압승. 9월 중순부터 10월 상순에 발생한 '순천성의 싸움'은 명·조선군의 육군과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계 5만5000이 순천왜성의 코니시 행장과 아리마 하루신 등이 이끄는 1 만 3700명의 일본군과 격돌하고 있습니다. 명·조선군의 수륙 양면의 일제 공격에 일본군은 고전합니다만, 성의 수호를 굳혀 명·조선군을 격퇴. 이렇게 명·조선군의 '사로병진책'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게이쵸의 역할 ⑤ 철수, 세키가하라

싸움이 차분한 10월 15일, 일본으로부터의 사자가 5대로로부터의 귀국 명령을 가지고 도착해, 각 무장은 일본에 귀국하게 됩니다. 이를 받은 코니시 행장은 명측과 무혈철퇴의 약속을 설치하지만, 명·조선 수군이 이를 방해. 행장을 도우려고 시마즈 요시히로를 중심으로 한 일본 해군이 격돌한 것이 11월 18일의 「노량 해전」으로, 경장의 역 마지막 싸움입니다. 시마즈군은 큰 피해를 내면서도 행장을 철수시키는 데 성공. 한편 명·조선측은 일본군에 많은 손해를 주었지만, 이순신 등을 비롯한 많은 장관이 전사했습니다.

이처럼 일부 전투는 있었습니다만, 일본군은 대개 순조롭게 부산에 집결해, 11월 중순에는 일본에 철퇴. 이렇게 게이쵸의 역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집결한 것이었습니다. 덧붙여 조선과의 강화에 대해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시대를 기다리게 됩니다.

두 번에 걸친 조선 출병은 도요토미 정권에 큰 그림자를 떨어뜨렸습니다. 원정 비용은 스스로 충당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주로 조선에 건너온 서국의 무장들의 데미지는 크고, 정권 내에서의 힘도 서서히 저하해 갔습니다. 한편 조선에 병사를 내지 않았던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 동국의 무장들의 힘은 좋고, 특히 이에야스는 오대로의 필두에 올라갔습니다. 이것에 게이쵸의 역으로 악화된 문치파와 무단파의 싸움이 얽혀, 천하 나누기의 싸움인 세키가하라로 이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게이쵸의 역할에 대한 기사를 다시 읽으십시오.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