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쵸의 역할(1/2)히데요시의 죽음으로 끝난 조선 출병·후편

경장의 역할

경장의 역할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경장의 역(1597년~1598년)
위치
사가현·나가사키현
관련 성, 절, 신사
나고야 성

나고야 성

구시마 성

구시마 성

구마모토 성

구마모토 성

관련 인물

천하 통일 후에 중국(당시 명)을 정복하기 위해 이씨 조선(현 북한·한국)에 출병한 도요토미 히데요시. 텐쇼 20년(1592년)부터 문록 2년(1593년)까지의 「문록의 역」의 뒤, 다시 조선을 공격한 것이 게이쵸 2년(1597년)부터 다음 3년(1598년), 히데요시가 죽을 때까지 계속된 「게이쵸의 역」입니다. 「분록·게이쵸의 역」이라고 정리해 말해지는 일도 많은 조선 출병입니다만, 이번은 후반의 「게이쵸의 역」에 대해서, 세키가하라에 계속되는 영향까지 알기 쉽게 해설해 갑니다. (''문록의 역할에 대해서는 다른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분록의 역할"을 쉽게 되돌아 보

분로쿠의 역은 천하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아키라를 바라보고 조선을 공격한 싸움입니다. 왜 히데요시가 아키라를 공격하려고 했는가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제설이 있고, 대표적인 것으로는 ①오다 노부나가의 유지를 이어받기 위해 ②히데요시의 공명심이나 명예욕 ③다이묘들의 힘을 깎기 위해 ④영토 확장 때문에 ⑤명과의 교합무역 부활을 위해 ⑥아시아의 식민지화를 도모하고 있던 유럽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문록의 역은 총 25만명에서 30만명이 참가하고 있어 총대장은 우키타 히데야, 총봉행은 이시다 미츠나리였습니다. 조선에는 코니시 행장이나 가토 기요마사, 구로다 나가마사, 고바야카와 타카히게, 모리키모토 등 그렇게 하는 무장들이 건너 활약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예비군」으로 조선에는 출병하고 있지 않습니다.

부산에 상륙한 일본군은 차례차례로 조선군을 깨고 수도·한성을 함락시킵니다.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의 활약으로 물자 부족에 시달리는 일도 있었습니다만, 일본군 우위인 채 평양을 함락시켰습니다. 그 중에서도 카토 기요마사는 조선국의 왕자를 포박하거나 북상해 만주 오랑카이(여진족)와 싸우거나 활약하고 있습니다.

사태가 움직인 것은 명의 원군이 방문한 이후입니다. 분로쿠 2년(1593년) 1월. 아키라의 사령관 이여마츠가 평양을 급습해 일본군은 처음으로 대패. 평양에 있던 코니시 행장은 개성까지 철수했다. 1월 25일의 「바제관의 싸움」에서는 일본군이 명군을 깨고 대승합니다만, 일본군은 물자 부족에 빠지면서 역병이 만연. 한편의 명군도 기세를 깎아 버려, 쌍방 정전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해, 평화 교섭이 스타트합니다.

게이쵸의 역할의 원인은 「거짓 투성이의 강화」

강화협상은 오랫동안 계속되었지만, 분로쿠 2년(1593년) 4월에 일단의 강화가 성립합니다. 협상 담당자는 일본측은 코니시 행장, 명측은 침착경. 이 2명이 문록의 역을 끝내려고, 양쪽의 톱에 거짓말의 강화 조건을 전하기로 한 것입니다. 즉 코니시 행장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아키라가 항복한 것을, 침착경은 밝히 일본이 항복한 것을 전했습니다.

코니시 행장과 침착경은 서로 협력해, 사절이나 서류의 위장까지 실시했습니다. 침착경은 부하를 명의 칙사와 거짓 히데요시 아래 파견. 명측이 항복했다고 생각했던 히데요시는, 당연히 강렬하고 명료하게 조건을 제시합니다. 조건은 ①명의 황녀를 천황에게 아내가 시킨다 ②감합무역의 부활 ③쌍방의 장관이 맹세를 나누는 ④조선 팔도의 절반을 일본에 할양하고 나머지와 한성을 조선으로 반환한다 ⑤조선의 왕자 라고 가로를 일본의 인질로 내보내는 ⑥일본이 포로로 한 조선왕자는 조선에 반환하는 ⑦조선의 중신들에게 일본에 등을 끼치지 않도록 서약하게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대로 히데요시의 요구를 제시하면, 아키라가 납득하지 않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본측은 조건을 마음대로 변경해, 코니시 행장의 부하가 아키라에게의 사자로서 서 있습니다. 아키라측에서는 「화의의 증명에 히데요시의 항복 문서가 필요하다」라고 말해졌기 때문에, 행장은 한층 더 이것을 위조해 명에게 제출. 거짓 일본으로부터의 요구는, 감합 무역의 재개와 일본을 책봉 체제에 넣어 히데요시를 번왕에게 인정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었습니다. 덧붙여서 조선을 공격한 이유는 「명에게의 취지를 조선이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아키사는 일본이 책봉 체제에 들어가는 것을 인정해, 히데요시에게 일본 국왕(순화왕)의 칭호와 금인을 수여하는 것을 결정. 그러나 감합 무역의 재개는 거부하기로 결정했고 공식적인 사자를 히데요시에 파견했습니다. 분로쿠 5년(1596년) 9월, 히데요시와 아키라의 사자가 회견했을 때에 강화 때의 거짓말이 분명히! 히데요시는 당연히 격노하고 다시 명공을 결의합니다. 덧붙여 강화를 주도한 아키라의 침착경은 귀국 후 사죄가 되었습니다만, 코니시 행장은 이시다 미츠나리나 마에다 토시야 등의 취함 없이 일명을 취했습니다.

경장의 역할 ① 조선에 14만명이 재출병

히데요시는 명공을 하기 위해 각 무장에게 동원령을 발행해 약 14만명의 병사가 다시 조선 출병을 위해 모이게 되었습니다. 게이쵸의 역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총대장으로 취임. 또, 1번대(선수)와 2번대는 가토 기요마사와 코니시 행장이 각각 2일 교체로 담당하는 것이 결정되었습니다. 이 중 행장은 평화 교섭을 거짓 무장. 한편의 키요마사는 문록의 역시 전동에서 대활약하고 있습니다만, 「강화를 우위로 하기 위해서는 전을 계속해야 한다」라고 주장해, 조기에 강화를 성립시키고 싶은 행장과 대립 했습니다. 그 결과, 행장의 소언과 그것을 지지한 이시다 미츠나리에 의해, 근신하게 되고 있습니다. 나중에 히데요시에게 변명하고 용서받고 있습니다만, 행장, 나아가서는 미츠나리에 대한 분노는 상당한 것이었던 것 같습니다.

재출병군에 대해서는, 이하의 무장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1번대・2번대
가토 기요마사, 코니시 행장
3번대~7번대
쿠로다 나가마사, 나베시마 나오모, 카츠모, 시마즈 요시히로, 나가무네 아베 모토모토, 후지도 타카토라, 와키자카 야스지, 하스카가정 등
팔번과 9번대
모리 히데모토, 우키타 히데야

이 밖에 부산포성에 총대장인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안골포성에 타치바나 무네가 재번중(제성의 수비담당)으로 앞두고 있습니다.

게이쵸의 역 ②초반은 일본군이 우세, 왜성을 쌓아 방비를 굳힌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한 조선 재출병의 작전은 “전라도를 남기지 않고 일어나 성패하고, 한층 더 충청도나 그 밖에도 진공하라.”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전라도라고 하는 것은 문록의 역시, 현지의 저항이나 험한 지형등으로부터 일본군이 유일하게 제압할 수 없었던 지역이므로, 전회의 리벤지라고 하는 것입니까. 한층 더 작전을 실행한 후에는 경상도의 연안까지 철수해, 성을 쌓아 규슈의 다이묘를 중심으로 성주를 결정, 병사를 두도록 지시. 장기간에 걸쳐 조선에서 생활하기 위해 성은 익숙한 일본식 성(왜성)을 구축하도록 명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주 이외는 한 번 끌어올려 체제를 정돈해 경장 4년(1599년)에 대규모 재출병을 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14만의 병사들은 계획에 따라 쓰시마 해협을 가로질러 차례로 부산에 상륙, 각지에 흩어져 갔습니다.

게이쵸의 역할 기사에는 계속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