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록의 역할 (2/2)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전편

문록의 역할

문록의 역할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문록의 역할(1592년~1593년)
위치
사가현
관련 성, 절, 신사
나고야 성

나고야 성

구마모토 성

구마모토 성

관련 인물

그 후도 이순신은 일본선을 차례차례 침몰해 갑니다. 일본군은 와키자카 안지나 구귀가타류 등을 투입해 수군을 강화합니다만, 이순신은 만작 작전을 교묘하게 사용해, 7월 7일의 한산도 해전에서 마찬가지로 일본 수군을 격파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의해 일본 수군의 배가 운반하는 보급 물자가 데미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공격을 받아 일본 수군은 수송용 배에 대철포를 붙여 대항. 지금까지의 적극적인 출격 전술을 그만두고, 수륙 공동 방어 전술에 방침을 전환해, 조선 수군과의 정면 충돌을 피했습니다. 이것에 의해, 일본 수군은 이순신의 피해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한편, 육지에서는 일본군은 조선군과 조선국의 의병에 의한 게릴라와 전투. 대체로 승리하고 있었습니다만, 7월에 명의 원군이 옵니다. 7월 16일에는 명군 5000이 평양에 공격해 옵니다만, 코니시 행장들이 이것을 격퇴. 7월 29일에는 다시 공격해 온 명군을 코니시 행장들이 다시 격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명의 움직임을 경계하고, 일본군은 평양 이상으로 북상하는 것을 그만두고, 한성의 수호를 굳히기 시작합니다. 또, 이 전투에서 지는 명명은 일본군과의 강화를 검토해, 평화 교섭을 시작합니다.

덧붙여 북방에서 일본군이 아키라의 원군과 싸우고 있는 동안, 카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2번대는 북동쪽으로 진행되어, 7월 23일에는 조선국의 제2왕자를 회령으로 포박. 그 후 만주의 오랑카이(여진족)와 싸웁니다. 아키라에의 침공 루트를 찾기 위해서인 것 같습니다만, 결국 철퇴했습니다.

카토 기요마사가 오랑카이를 공격하는 동안 일본군은 한성에서 평정을 엽니다. 이 중심이 된 것이 조선 봉행의 이시다 미츠나리·마스다 나가모리·오타니 요시츠네·쿠로다 간베에 등입니다. 그 결과 올해 안에 아키라를 공격하는 것과 주군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건너는 것을 중지하도록 히데요시에 진언하는 것이 결정되었습니다. 덧붙여 기요마사는 이 자신 부재에서의 결정에 분노를 기억해, 서서히 미츠나리와 대립해 가게 됩니다.

문록의 역할 ⑤ 격전 · 벽제관 전투

8월 29일, 코니시 행장과 명의 사이에서 50일간의 휴전이 결정. 잠시 휴전하지만 다음 문록 2년(1593년) 1월, 명의 사령관 이여마츠가 강화의 사자를 내는 척하고 평양을 급습. 일본군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행장은 어떻게든 평양을 탈출하고 개성까지 철수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일본군은 한성에 집결하여 방어를 굳힌다. 그 후 열린 군의에서는 이시다 미츠나리 등이 농성을, 코바야카와 타카게 등이 요격을 주장. 타치바나 무네가 「여기서 전쟁을 물리치면 일본의 치욕」이라고 말한 것으로부터, 이국의 무사에게 모시지 않겠다는 생각으로부터 농성파도 명군의 요격에 찬성합니다.

그리고 1월 25일에 '벽제관 전투'가 한성 북방의 벽제관(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벽제동 일대)에서 시작됩니다. 명·조선연합군 약 15만(※제설 있어, 상당히 수의 편차 있음)을 맞아 쏘는 것은 총대장·우키타 히데야와 선봉·코바야카와 타카게 등이 이끄는 총 4만의 병사였습니다. 명군은 기병부대와 중화기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은 불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벽제관은 기병을 향하지 않는 좁은 계곡이며, 일본군은 땅의 이익을 얻습니다. 덧붙여 전날의 비로 다리는 미지근한 늪 상태였습니다.

명군은 평양을 얻은 후 개성도 순조롭게 얻어 일본군을 모욕하고 있었습니다. 거기를 타치바나 무네 등 선발대가 공격해 명군을 크게 깨뜨립니다. 명군이 잇달아 증원을 꺼내 선발대가 고전하기 시작했을 때 코바야카와 타카시 등의 본대가 등장. 별동대를 활용해 명군을 농락하고, 격전을 억제했습니다. 명군은 일설에 의하면 약 6000명의 전사자를 내는 대패로, 이여마츠는 죽음에 직전까지 몰려들지만 어떻게든 도망쳐 평양까지 철수했습니다.

이 전후, 명군의 기세는 흩어져, 게다가 식량난에 빠진 것으로부터 일본군과의 강화 교섭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한편, 일본군도 3월에 한성의 식고를 태워 식량난이 된 것, 일찍부터 익숙하지 않은 기후 중 싸우고 있었던 것으로 전염병이 만연하고 있었던 것 등도 있어, 강화 교섭을 받아들입니다 . 그리고 4월에 강화가 성립했습니다. 덧붙여 조선측은 강화에 계속 반대하고 있었습니다만, 양국은 조선측을 무시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록의 역 ⑥ 평화 교섭의 '위장'

강화협상은 일본측은 코니시 행장 등, 명측은 침착경들이 담당. 강화의 조건으로서, 일본군은 잡은 조선국의 왕자를 반환하는 것과 부산까지 후퇴하는 것이, 명군은 개성까지 후퇴하는 것과 동시에, 일본에 명의 사절을 파견하는 것이 요구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강화, 실은 새빨간 거짓말. 담당자끼리 제시해, 일본측에는 「명은 일본에 두려움을 이루고 항복했다」, 명측에는 「일본이 명에게 두려워해 항복했다」라고 거짓의 내용으로 각 톱을 납득시켰다 입니다.

그 후 침착경은 부하를 아키라의 칙사와 거짓으로 히데요시와 속견시킵니다. 히데요시는 「명은 항복했다」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명의 황녀를 천황에게 아내가 시키는 것, 감합 무역을 부활시키는 것, 조선 8도 중 절반을 일본에 할양해, 다른 4도와 한성에 변환하는 것, 조선에 일본에 등장하지 않도록 서약시키는 것 등 7항목을 조건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대로 이 요구를 제시해도 명은 납득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코니시 행장의 부하가 항복사절로서 베이징에 가서 편리하게 변경한 히데요시로부터의 문서를 제시합니다. 명측으로부터는 화의 실현을 위해서는 항복을 나타낸 문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행장은 무려 항복 문서를 위조해, 명에게 제출해 버리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생각하면 믿을 수 없는 작전이군요. 위서에서는, 일본은 명의 신민이 되려고 하고 있어, 조선을 통해서 그 취지를 명에게 전하려고 했지만 조선이 거부했기 때문에 전이 되었다, 라고 하는 조선측을 비난. 일본을 책봉 체제에 넣어달라고, 히데요시를 번왕으로 인정하면 앞으로 공물을 보내는, 감합무역을 허락해 주었으면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명측은, 책봉 체제에 들어가는 것은 허가했지만, 감합 무역은 인정하지 않고 히데요시에 사자를 파견합니다.

분로쿠 5년(1596년) 9월, 히데요시는 아키라의 정식 사자와 속견. 여기서 코니시 행장과 침착경의 거짓말이 밝혀집니다. 히데요시는 자신의 요구가 전혀 받아들일 수 없을 뿐 아니라, 사자로부터 칭호를 받을 수 있다, 즉 일본이 아키라의 신하가 되는 것에 격노. 명을 정복하려고 다시 조선에 출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침착경은 귀국 후 사죄. 행장도 절복시킬 수 있는 곳을 이시다 미츠나리의 소식 없이 일명을 취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조선에서의 싸움은 후반전의 경장의 역으로 이어져 가는 것입니다.

문록의 역할 기사를 다시 읽으십시오.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