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 신서 (2/2)일본 최초의 번역 해부서

해체 신서

해체 신서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해체 신서(1774년)
위치
도쿄도
관련 성, 절, 신사
에도성

에도성

그런 가운데, 3명은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료사와를 「맹주」로 하고, 선생님으로서 들으면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당시 요사와는 49세, 현백은 39세, 나카가와 준암은 33세. 제일의 연장으로 지식이 풍부한 료사와를 중심으로, 네덜란드어를 배우면서의 번역 작업이 스타트한 것입니다. 덧붙여 나중에 의사로 난학자의 가쓰라가와 甫周나 이시카와 현상 등도 멤버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난학사시』에는 『해체신서』의 번역의 고생이 적혀 있지만, 그에 따르면 「『눈썹』이라는 것은 눈 위에 자란 털이다」라는 설명문도 의미가 흐릿해 긴 봄 하루를 걸어도 몰랐다고 합니다. 모르는 단어에 대해서는 ○ 속에 십자를 쓴 「쿠츠와 십자」를 썼습니다만,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아서 괴로워지면 「그것도 또 쿠츠와 십자, 쿠츠와 십자」라고 말하고 있었다던가 . 현대에서도 같은 일이 있으므로, 무심코 친근감이 느껴져 버리는 에피소드입니다.

번역자들은 한 달에 6, 7회 회의를 열고 토론을 하고 번역을 진행시켜 나갑니다. 처음에는 좀처럼 진행되지 않았습니다만, 매년 에도를 방문하는 네덜란드어의 통사에 질문하거나, 해부와 비교해 지식을 깊게 해 갔는데, 1년 정도였을 때와 번역어의 수가 늘어나 , 하루 10행 이상 알게 되었습니다(『난학사시』). 안나가 원년(1772년)에는 어떻게든 형태가 되어, 거기서 한층 더 개고가 무려 11회나 행해져, 안나가 3년(1774년) 8월, 「해체 신서」가 간행됩니다.

덧붙여 「해체 신서」의 예고편으로서, 안나가 2년(1773년)에 「해체 약도」가 간행되고 있습니다. 『란학사시』에 의하면 당시 유행하고 있던 「히키후다」(선전 빌라)와 같은 것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은 네덜란드의 의학서를 출판하면 세간으로부터 괴롭혀 버린다고 생각 그러니까요.

또, 원래 막부에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모르게 금서 취급되어 버릴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현백들은 철자를 사용해 장군이나 노중, 공가의 유력자에게 『해체 신서』를 미리 헌상하고 있습니다 . 여러가지 걱정이 있었던 「해체 신서」입니다만, 무사히 유력자들로부터는 받아들여졌습니다.

「해체 신서」에 왜 없는 「마에노 라자와」의 이름

「해체 신서」를 읽으면, 번역자는 「스기타 현백」, 그 외 「나카가와 준안(교), 이시카와 겐상(참), 가쓰라가와 甫周(열)」가 되어 있어, 왠지 맹주인 「마에노 라자와 '의 이름이 없습니다. 무려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어 통사·요시오 경우가 쓴 서문 속에서 등장할 뿐입니다.

이 서문에서는 료사와를 훌륭한 인물이라고 칭찬하고 있는 것 외에, 둘이서 번역한 것을 알 수 있는 문장이 쓰여져 있습니다. 『란학사시』에서도 료사와가 번역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기록되어 있어 감사의 모습이 전해져 옵니다. 즉, 현백측에서 료사와를 배제한 것은 아닙니다.

이 때문에, 「해체 신서」에 료자와의 이름이 없는 이유는, 료사와 측으로부터 올려놓지 않겠다는 요망이 있었다고 하는 설이 유력합니다. 요시자와는 연구 열심으로 완벽주의자였던 것 같고, 당시의 나카츠 번주·오쿠헤이 마사카보다 「난학의 괴물」이라고까지 불린 귀재. 『난학사시』에 의하면 학문 중시로 주저하지 않는 사람과는 교제하고 싶지 않은, 편굴한 연구자 타입이었던 것 같고, 현백은 「천연의 기사」 「기이를 좋아하는 성」이라고 평하고 있습니다.

요시자와는 네덜란드어의 정확한 번역을 고집하고 있어 충분히 번역했다고는 좋겠다 『해체 신서』에 이름을 올리는 것은 허용하기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집착하지 않고 출판하면 좋을까? 라고 하는 의견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스기타 현백으로서는 「빨리 『해체 신서』의 내용을 널리 세상에 알리고 치료에 도움이 되고 싶다」라는 의식이 강하게 있었습니다. 『난학사시』에서는 대체로 알았던 곳을 번역해, 의학의 발전에 노력하고 싶은, 나머지는 후인이 어떻게든 할 것이다, 라고 하는 대잡파인 생각을 하고 있던 것이 쓰여져 있습니다.

『해체신서』가 준 영향

「해체 신서」는 서양 의학을 일본에 소개해, 일본의 의학계에 다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처음 서양어로 번역했기 때문에 마에노 료자와의 우려대로 오역이 많이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스기타 현백은 나중에 제자로 난초학자의 오츠키 겐자와에게 『해체 신서』를 번역하도록 명령합니다. 그리고 문정 9년(1826년)에 개정판으로서 「중정해체 신서」가 간행되었습니다. 이쪽은 서나 부언 등이 1권, 본문이 4권, 명의해 6권, 부록 2권의 13권으로, 덧붙여 동판도 「중정해체 신서 동판 전도」가 1권 있습니다.

실은 「중정해체 신서」, 초고 자체는 관정 10년(1798년)으로 되어 있었습니다만, 출판까지 약 30년이나 걸려 있어, 그 사이에 「부록」이 늘고 있습니다. 이것은 마츠다이라 정신에 의한 「관정의 개혁」(1787년~1793년)에서 나온 「관정이학의 금」의 여파가 일인이었다고 추찰됩니다. 주자학을 정부 공식의 학문으로 하고, 그 이외를 「이학」으로서 금지하고, 출판을 단속한 것으로, 이 때 공적 기관에 있어서의 난학도 폐지되었습니다. 또, 당시의 출판 업계의 인손 부족등도 지연의 일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중정해체 신서」가 출판되었을 때에는 스기타 현백은 벌써 죽어 있었습니다만, 번역자의 장소에는 「스기타 현백」의 문자가 확실히 남아 있습니다. 게다가 겐자와도 「중정 해체 신서」의 출판을 지켜본 후, 문정 10년(1827년)에 이 세상을 떠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체신서』는 현대까지 계승되고 있습니다. 그것이 번역할 때 만들어진 「신경」 「동맥」등의 번역어. 간행으로부터 250년이 지난 지금도 그러한 말은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체 신서의 기사를 다시 읽는다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
일본 성 사진 콘테스트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