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국령(1/2)에도 막부에 의한 「쇄국」

쇄국령

쇄국령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쇄국령(1633년~1639년)
위치
도쿄도
관련 성, 절, 신사
에도성

에도성

관련 인물

에도시대, 일본은 해외와의 무역이나 외교를 제한하는, 소위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쇄국의 본래의 의미인 「나라를 닫고 고립한다」가 아니라, 네덜란드, 중국(명·청), 조선, 류큐 왕국과는 장소를 한정해 무역이나 외교를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했다. 이번은 그런 「쇄국」에 대해, 몇도에 걸쳐서 나온 「쇄국령」을 중심으로, 내용이나 그 경위, 해외와의 교류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해 갑니다.

에도 시대에 '쇄국'은 없었다? 「쇄국」에 관한 논의

쇄국령의 이야기에 들어가기 전에, 최근 주류가 되고 있는 「에도시대에 쇄국은 없었다」론에 대해 접해 둡시다. 필자처럼 30대~40대 이상의 분은 초등학교에서 “에도 시대는 쇄국에 의해 국가는 폐쇄되고, 무역이 허락된 것은 나가사키만”이라고 배운 것이 많다고 생각합니다만, 실제로는 “ 「쇄국」중에도 네덜란드나 중국, 조선, 류큐 왕국에 대해 「4개의 입」이라고 불리는 창구를 열고 있어, 완전히 나라를 닫고 있던 것은 아닙니다.

즉 「쇄국」이란, 에도 막부가 해외와의 외교·교역을 관리·제한하고 있던 정책을 말하고, 말의 의미대로의 「나라를 쇄한다(토자스)」, 즉 나라를 봉쇄해 외국과의 교류를 금지한 것은 아닙니다. 이 때문에 연구자 중에서는 '쇄국'이 아닌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대외 정책인 '해금'이라는 워드를 사용하여 에도시대의 외교 정책을 설명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습니다.

원래 에도 시대에 '쇄국'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쇄국」의 기초가 된 것은, 겐로쿠 3년(1690년)부터 3년간, 일본에 체재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의사로 박물관학자의 엥겔베르트・켐펠에 의한 『회국기관』을 바탕으로 출판 된 「일본지」의 일설입니다.

『일본지』는 켄펠의 사후에 출판된 후 베스트셀러가 되어, 영어로부터 프랑스어, 네덜란드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그 네덜란드어판의 일부를 나가사키 통사의 시치쿠 타다오가 번역. 그것이 '최선의 견지에 의해 자국민의 출국 및 외국인의 입국, 교역을 금지하고 나라를 닫고 있는 일본'이라고 타이틀이 붙여진 논문으로, 에도 막부의 정책을 긍정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시치 다다오는 타이틀이 너무 길기 때문에 짧게 하고 「쇄국론」이라고 명명해 출판합니다. 여기서 '쇄국'이라는 말이 출현하는 것입니다.

「쇄국론」에 의해 「쇄국」은 에도 말기부터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마이너스 이미지에 전가시킨 것이 메이지 시대의 관리인이나 문화인들. 메이지 정부의 '개국' '서양화'를 긍정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에도시대의 외교 정책인 '쇄국'을 비판한 것입니다. 그 때문에 '쇄국'이라는 말은 마이너스의 이미지를 기대게 되었습니다.

덧붙여 사회과의 교과서를 출판하는 제국 서원에서는, 「쇄국」에 대해 「외교·무역 통제 당초부터 사용된 말은 아니다」 의 외교·무역의 실태와는 다르다”라고 하는 이유로부터, 교과서내에서 「쇄국」이라고 하는 「」 첨부의 표기로 하고 있다고 하는 것. 덧붙여서 단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는 이유로는 "교과서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용어이며, 에도막부의 무역 실태와 함께 사용하면 에도막부의 대외정책의 독자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말"이라고 설명합니다.

「쇄국」의 목적은?

에도막부가 해외와의 외교·교역을 관리·제한한 “쇄국”입니다만, 왜 막부는 이러한 정책을 실시했습니까? 그 이유로 꼽히는 것이 기독교 대책입니다.

에도막부가 열린 당초 막부는 중국(명), 조선, 동남아시아, 유럽 국가들과 무역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유럽은 포르투갈, 스페인과 같은 가톨릭 국가와 네덜란드와 영국과 같은 개신교 국가와 무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역과 기독교의 포교를 패키징하고 있던 가톨릭국의 선교사들에 의한 포교로 기독교가 퍼지면서 막부는 기독교를 불안시하기 시작합니다. 기독교의 '하느님의 평등'이라는 사상은 막부의 지배 체제를 흔들 수 있을 뿐이었고, 일향 일규처럼 일섭이 발생할 우려도 있습니다. 그리스도교국 선교사들에게 땅을 기진하는 그리스도인 다이묘는 가톨릭교국에 의한 일본 식민지화의 위험성도 있었습니다.

또, 후술합니다만 금지와 깊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막부에 의한 무역의 독점입니다. 해외와의 무역은 막대한 부를 낳는 것이었고, 그리스도인 다이묘들이 힘을 쏟은 것도 무역이 이유였습니다. 무역을 막부의 통제하에 두는 것으로, 무역에 의한 이익과 해외로부터의 정보를 독점해, 막번 체제의 안정화를 도모한 것입니다.

「쇄국」에의 길 ①기독교금 교령과 「2항 제한령」

그럼 막부가 '쇄국'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덧붙여 앞서 말했듯이 「쇄국」이라는 단어는 에도 말기 이후의 것이므로, 당시 「쇄국령」이라는 이름의 금령이 나온 것은 아닙니다. 에도 막부에 의한 외국과의 통상이나 무역 등을 금지·한정하는 일련의 금령이 현재 「쇄국령」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쇄국」의 시작은 제2대 장군·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시대부터. 히데타다는 게이쵸 17년(1612년)에 막부의 직할지를 대상으로 금교령을 내고 다음 해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게이쵸 18년(1613년) 12월에는 반천련 추방문을 발포하고 있으며, 다음 게이쵸 19년(1614년)에는 다카야마 우근을 비롯한 그리스도인들이 마카오와 마닐라에 국외 추방되고 있습니다.

이 일련의 기독교 금령은 게이쵸 14년(1609년)부터 게이쵸 17년(1612년)에 일어난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이 원인입니다.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은 그리스도인 오카모토 다이하치가 그리스도인 다이묘 아리마 하루노시에서 많은 금전을 속인 사기 사건으로 이 사건을 계기로 에도 막부는 기독교를 금지하는 자세를 명확히 하고 기독교를 넓히는 가톨릭 나라를 배제하고자 여러가지 시책을 행해 가는 것입니다. 덧붙여서 이 단계에서 막부는 기독교 포교와 무역을 나누고 있던 개신교 국가와의 무역을 확대하고 있었습니다.

그 후, 에도 막부는 오사카 겨울의 진·여름의 진을 거쳐 도요토미 종가를 멸망시킵니다(게이쵸 20년/1915년). 그리고 같은 해에 일국 일성령과 무가 제법도, 금중 병공가 제법도 등을 발출해 국내 통제를 도모했습니다.

이어 무역·외교통제책으로서 겐와 2년(1616년)에 「2항 제한령」을 발행합니다. 이곳은 유럽으로부터의 내항을 「나가사키항」(현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과 히라도항(나가사키현 히라도시)에 제한하는 것과 동시에, 기독교를 금지한다고 하는 내용의 것으로, 「프레쇄 국령」이라고 할 수 있다 물건이었습니다.

「쇄국」에의 길 ② 봉서선 제도와 관영 10년의 「제1차 사슬 국령」

제3대 장군·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시대에 들어가면 막부는 관영 8년(1631년)에 「봉서선 제도」를 개시합니다. 이는 당시 동남아시아에서 실시했던 주인선 무역에서 장군이 내놓은 주인장 외에도 막부 노중에 의한 허가장(봉서)을 가진 배만 해외도항이 허가된다는 것이다. 주인장은 장군이 발행한 것으로 특히 기한이 없고, 한층 더 신군·이에야스공이 발행한 것도 있어, 취소할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새롭게 「봉서」를 만드는 것으로 사실상 주인장의 무효화를 도모한 것입니다.

그리고 관영 10년(1633년)에는 2월령, 즉 「제1차쇄국령」이 나옵니다. 이곳은 봉서선 이외의 해외도항을 금지하고, 밀항자는 사죄로 한다는 것. 해외 거주자의 귀국도 사죄입니다만, 예외적으로 체재가 5년 이내로, 귀국 후 일본에 체재하는 경우는 무죄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테렌(기독교 선교사)을 밀고한 것에는 보상을 주는 등 기독교 금교에 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어 관영 11년(1634년)에 나온 것이 「제2차 사슬 국령」. 이것은 제1차 사슬 국령의 재통달과 나가사키에 유럽인의 격리 시설·데지마의 건설을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쇄국」에의 길 ③제3차쇄 국령

사태가 크게 움직인 것이 관영 12년(1635년)에 나온 5월령, 즉 「제3차쇄국령」에서의 일이었습니다. 제3차 사슬 국령에서는 일본인의 해외 도항의 전면 금지와 일본인의 귀국의 금지를 정하고 있어, 모두 위반하면 사죄가 됩니다. 또, 이쪽에서도 「바테렌을 밀고한 것은 포상을 준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쇄국령의 기사에는 계속이 있습니다

관련 인물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